지갑을 열게 하는 뷰티 트렌드!
올해 뷰티서플라이 소비자는 이런 걸 산다
2025년 뷰티 시장은 자연 모발을 중시하는 트렌드가 계속되고, 개인 맞춤형 제품과 마이크로 타겟팅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질 예정이다. 또한 다양성을 넘어 각 인종의 문화 정체성을 깊이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뷰티서플라이 시장에도 중요한 기회다. 단순히 인기 제품을 진열하는 것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실제 니즈를 반영한 전략을 세운다면 고객 충성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1. ‘가성비’ 아닌 ‘가심비’ – ‘Value Now’ 소비자 대응 전략
요즘 소비자들은 단순히 저렴한 제품을 찾는 것이 아니라, 투자할 가치가 있는 제품에 기꺼이 돈을 쓰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일상용품에는 합리적인 소비를 하면서도 특별한 가치를 지닌 제품에는 아낌없이 투자하는 것이 핵심 패턴이다.
⇨뷰티서플라이 적용 전략
헤어케어 제품 가격대별 라인업 구성
대용량 데일리 제품 ($10) VS 고기능성 프리미엄 제품 ($30)
샘플 키트 제공 → 고가 제품 체험 유도
예: 3일용 스타일링 젤 샘플
Tip: 프리미엄 제품을 구매할 고객을 유도하려면, “Try Before You Buy” 프로모션을 활용해 보자.
2. AI + 인간 맞춤 추천- 흑인 모발·피부 특성 반영한 솔루션
이미 상용화된 AI 과학적 분석과 함께 인간의 감성과 개성이 담긴 맞춤형 추천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다양한 텍스처를 가진 흑인 모발과 건조하거나 민감한 두피, 여전히 한정적인 어두운 피부톤 색상 옵션을 고려할 때, AI 분석의 효율성과 전문가의 감각을 결합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소비자 신뢰를 얻는 핵심 전략이 될 것이다.
⇨도입하면 좋은 제품 & 서비스
AI 모발 분석기 → 모발 패턴과 건조도 분석 후 맞춤형 솔루션 추천

© perfectcorp.com

© perfectcorp.com
Perfect Corp는 2025년 1월 열린 국제가전박람회(CES)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AI 헤어 타입 분석기를 선보였다. 모발의 굵기, 곱슬 정도, 잔머리, 건조 상태 등을 0.2초 만에 분석해 맞춤형 케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살롱과 뷰티 소매점 매출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세분화된 헤어 타입별 판매

© sephora.com
뷰티 체인 세포라(Sephora)는 헤어 텍스처를 4가지로 분류했으며, 소비자는 원하는 텍스처를 클릭하면 각 헤어 유형에 맞는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3. 멀티태스킹 제품 – 빠르고 효과적인 해결책
소비자들은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모발과 피부 건강을 챙길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한다.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제품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실용성과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주목할 제품
3-in-1 클렌징 컨디셔너 → 샴푸 + 컨디셔너 + 딥 트리트먼트 기능
다기능 제품 → 스타일링 + 모근 강화, 블러셔 + 립, 세럼 + 아이라이너
Tip: 시간 절약 + 기능을 함께 강조하는 프로모션을 활용하자.
에빈 뉴욕의 LACE MELT GLUE GELLY는 레이스 글루, 엣지 스타일링, 모근 강화 기능을 하나로 결합한 올인원 제품이다. 빠른 건조력을 갖춰 스타일링 시간을 단축시키며, 비오틴 함유로 두피 자극을 최소화해 장시간 사용에도 부담이 적다. 스타일링과 모발 건강을 모두 고려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했다.
Absolute NY의 듀얼 립밤은 하나의 제품에 두 가지 기능 즉, 보습과 컬러 연출을 동시에 제공하는 멀티태스킹 아이템이다.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간편함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트렌드를 반영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빠르고 손쉽게 메이크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4. 웰니스 + 뷰티 – 정신적 안정과 뷰티의 결합
최근 흑인 소비자들은 정신 건강과 뷰티를 연결하는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수면 기술, 피부 친화적인 침구류, 자연 성분의 보충제 등이 주목받고 있으며, 수명 연장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관련 제품과 서비스의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주목할 제품
라벤더 & 향수 오일 → 모발 윤기 향상 + 두피 스트레스 완화
아로마 테라피 스타일링 미스트 → 기분 전환 효과
수면용 실크 보닛 → 수면의 질을 향상
Tip: 매장 내 “웰니스 존(Wellness Zone)“을 설치하고, 소비자들이 직접 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보자. 향기와 촉감을 활용한 체험 마케팅은 웰니스 제품의 가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ULTA Beauty
뷰티 체인 ULTA의 ‘Wellness Week Zone’에서는 실크 보닛, 실크 베개, 여성용 프로바이오틱스, 향수 오일 등을 진열해 소비자들이 웰니스와 뷰티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5. 포용적인 브랜드 – 진짜 ‘진정성’이 필요하다
흑인 소비자들은 더 이상 표면적인 ‘다양성 마케팅’에 속지 않는다. 이제는 진정성 있는 메시지와 실질적인 포용 전략이 필요하다. 2024 McKinsey 보고서에 따르면, 흑인 소비자의 78%가 자신을 반영하지 않는 광고를 불신한다. 포용적 마케팅의 핵심은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소통이다. 특히,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단순한 광고를 넘어 소비자의 경험과 가치를 반영하는 전략이 필수적이다.
티르티르 X 흑인 뷰티 크리에이터 ‘미스달시(MissDarcei)’

©MissDarcei

©MissDarcei
유튜브 채널 ‘미스달시(MissDarcei)’를 운영하는 흑인 뷰티 크리에이터 달시는 지난 4월 티르티르 쿠션을 리뷰하며 “내 피부톤에 맞는 제품이 없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이에 티르티르는 20가지 컬러 셰이드로 출시한 레드 쿠션을 달시에게 제공했고, 그녀는 재리뷰 영상에서 “내 피부톤과 완벽하게 맞는다”며 감탄했다. 이후 영상이 화제가 되며 레드 쿠션의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소비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소통한 성공적인 사례로, 진정성 있는 포용적 마케팅이 소비자 신뢰를 얻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뷰티 서플라이 적용 전략
고객이 직접 참여하는 UGC(사용자 제작 콘텐츠) 캠페인
매장 내 스타일링 사진 전시
고객들의 Before & After 리뷰 공유
Tip: 진짜 고객들의 후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6. 남성 그루밍 시장, 더이상 틈새가 아니다.
흑인 남성 소비자들의 그루밍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4년 브레드 파이낸셜 & 울타 뷰티(Bread Financial & Ulta Beauty) 보고서에 따르면, 남성들의 월평균 뷰티·그루밍 지출은 90달러로, 이는 여성(80달러)보다 높은 수치다. 만족도는 헤어 케어(61%), 스킨 케어(60%), 보디 제품(58%), 향수(54%) 순이며, 남성 소비자들이 다양한 뷰티 제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트렌드가 뚜렷해지는 것을 보여준다. 이제 남성 소비자들은 ‘필수’가 아닌 ‘자기표현’과 ‘고급스러운 케어’의 수단으로 뷰티 제품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는 맞춤형 제품과 마케팅 전략이 필수적이다.
⇨주목할 제품
수염 관리 고도화 → 샴푸 + 수염 2 in 1 샴푸, 오일, 고성능 클리퍼
피부 관리 최적화 → 비듬 방지 면도크림, 비타민 C, 니아신아마이드, UV 차단 기능
Tacky fingers Batana Beard & Hair Shampoo, Growth Oil, po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