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_치면_나옵니다 매출을 부르는 키워드 검색법

 

잘나가던 제품이 어느 순간부터 손도 안 타고 쌓이기 시작한다. 틱톡이나 인스타그램에서 한 번 주목받으면 순식간에 품절되지만, 인기가 식는 속도도 그만큼 빠르다. 유행의 흐름이 워낙 빨라지다 보니, 매장에서 미리 예측하고 대응하는 일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그래서 틱톡도 켜보고, 인스타그램도 둘러보며 트렌드를 따라가 보려 하지만, 생각만큼 감이 잡히지 않는다. 나이 탓인가 싶고, 신조어를 몰라서 그런가 싶어 괜히 답답해 질 때도 있다.  하지만 정보가 넘쳐나는 지금은  ‘무엇을 찾느냐’보다 ‘어떻게 찾아야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검색에도 요령이 있다. 방법만 제대로 알면, 지금보다 훨씬 수월하게 흐름을 읽고, 미리 대응할 수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그 ‘검색 요령’을 매장 운영 핵심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지, 실전 방법을 소개한다.

 

1단계: “무엇을, 어떻게 검색할까?” – 실전 검색어와 해시태그

검색과 #해시태그의 차이

검색은 ‘정답’을 찾기 위한 도구라면, 해시태그는 ‘흐름’을 읽기 위한 도구다. 검색은 누군가 정리해놓은 결과물에 도달하는 방식이다. 블로그 글, 기사, 쇼핑몰, 브랜드 공식 콘텐츠처럼 비교적 완성된 정보가 노출된다. 반면, 해시태그는 아직 정리되지 않은 ‘현장감 있는 반응’을 모아 보여준다. 특히 해시태그는 소비자 스스로 키워드를 만들고 공유한다는 점에서 더 생생하다. #가성비뷰티, #흑인헤어스타일, #나만의루틴처럼 실제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사용하는 표현이 모이면서, 새로운 트렌드나 시장 언어가 형성된다. 이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면, 고객이 무엇을 찾고 어떤 상품에 끌리는지를 훨씬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보는 곧바로 매장 재고 관리와 신상품 선정에 연결된다.

 

검색어 제대로 쓰기

검색어란 사용자가 검색창에 직접 입력하는 단어나 문장을 말한다. 검색어는 너무 짧으면 결과가 넓고 모호해지고, 너무 길면 관련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핵심 단어 두세 개를 중심으로 조합하는 것이 좋다.

검색어를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도움이 된다:

 

매출로 직결되는 실전 검색어 예시:

검색어 종류 추천 검색어 비고
문제 해결형 “how to grow 4c hair”, “dry scalp solutions”, “best edge control for humidity” 고객의 ‘문제점(Pain Point)’을 보여준다.
브랜드 비교형 “mielle vs camille rose”, “the doux mousse vs lotta body” 보통 구매 마지막 단계에서 고민하는 제품으로 검색하게 된다.
구매 분석형 “beauty supply haul”, “what I bought at sally’s” 타 뷰티서플라이에서 무엇을 구매하는지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확실한 시장 정보다.
스타일 연관형 “bohemian braids products”, “how to do a silk press at home” 특정 스타일에 어떤 제품들이 ‘세트’로 필요한지 알려준다.

 

틱톡 검색어 화면 예시. ‘Beauty Supply Haul Black Girls’, ‘What I bought at sally’s’ 등의 검색어를 넣었을 때, 사용자들이 많이 구매한 제품에 대한 컨텐츠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

 

해시태그 이해하기

해시태그란 특정 주제나 관심사를 나타내기 위해 단어 앞에 ‘#’ 기호를 붙여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naturalhair’, ‘#wiginstall’ 같은 표현이 이에 해당한다. 해시태그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실시간 관심사 키워드’이기 때문에, 지금 유행하는 스타일이나 아이템을 빠르게 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다.

‘#blackgirlhairstyle’, ‘#protectivestyles’, ‘#braidstyles’ 같은 해시태그를 검색하면, 실제 흑인 여성 고객들이 자주 보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해시태그를 클릭하면 연관된 최신 인기 영상들이 모이는데, 이 중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상품이나 브랜드가 있다면 그것이 트렌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반드시 검색해봐야 할 핵심 해시태그 예시:

카테고리 추천 해시태그 비고
기본 흐름 #BlackGirlTikTok, #BlackBeauty, #NaturalHair 일상 콘텐츠 속에서 유행 스타일과 분위기를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품 검색 #NaturalHairProducts, #ProtectiveStyles, #BlackOwnedBeauty 실제 제품 사용 후기, 추천 영상으로 구체적인 브랜드나 제품을 확인하기에 적합하다.
헤어 타입별 #4CHair, #4BHair, #LowPorosityHair 고객의 구체적인 모발 타입에 맞는 아이템을 파악하기 좋다.
스타일별 #KnotlessBraids, #BohemianBraids, #SilkPress, #WigInstall 현재 유행하는 스타일과 그에 필요한 용품(헤어젤, 스프레이 등)을 알 수 있다.
성분, 제품별 #RosemaryOil, #ChebeButter, #RiceWater, #EdgeControl 특정 성분이나 제품 카테고리 유행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커뮤니티/챌린지 #NaturalHairJourney, #TheBigChop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장기적 니즈 이해에 도움이 된다.

 

 

❗️ 실전 팁: 틱톡 검색창에 위 해시태그를 입력한 후, 필터(filters) 기능에서 ‘이번달(This month)’과 ‘좋아요 순(Like count)’으로 정렬해 보자. 지금 가장 뜨거운 인기 아이템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틱톡 해시태그 검색 예시. ‘#’ 기호 뒤에 키워드를 붙여 검색창에 작성하면 관련된 내용이 함께 뜬다. 해시태그 검색에 필터를 추가로 적용하면 최신의, 가장 많이 호응을 얻는 컨텐츠를 순서대로 볼 수 있어 트렌드 파악에 용이하다.

2단계: “무엇을 봐야 하는가?” – 매출로 이어지는 콘텐츠 구분하기

흐름을 검색했다면, 이제는 그 안에서 ‘어떤 영상을 주의 깊게 봐야 할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영상이 매출로 이어지는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단순한 유행이나 재미 위주의 콘텐츠도 많기 때문에, 진짜 우리 가게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담긴 영상만 뽑아내는 눈이 필요하다. 특히 아래와 같은 형식의 영상은 실제 구매 행동과 연결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눈여겨봐야 한다.

GRWM
(Get Ready With Me)
외출 준비를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이다. 고객이 어떤 순서로 어떤 용품을 조합해 쓰는지를 자연스럽게 볼 수 있는, ‘진짜 일상 루틴’을 엿볼 수 있는 최고의 정보처다. 자주 등장하는 아이템은 그만큼 사용 빈도가 높고, 조합되는 제품끼리는 묶어서 세트 구성 아이디어로도 활용할 수 있다.
Haul
(구매 후기)
최근에 쇼핑한 상품을 꺼내 보여주며, 왜 샀는지, 어떤 점이 마음에 들었는지를 설명하는 영상이다. 무엇이 잘 팔리는지, 고객이 어떤 기준으로 아이템을 고르는지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신제품 반응을 살펴보거나, 특정 브랜드가 얼마나 주목받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Tutorials
(사용법 영상)
특정 스타일을 어떻게 연출하는지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영상이다. 이 영상에 등장하는 용품은 직접적으로 따라 사고 싶은 욕구를 자극하므로, 실제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영상에서 함께 사용되는 브레이딩 헤어, 엣지 컨트롤, 헤어 젤 등은 묶어서’스타일링 세트’로 구성하면 매장에서도 효과적으로 판매할 수 있다.
Hacks
(꿀팁 영상)
기존 상품을 새로운 방법으로 활용하는 팁을 소개하는 영상이다. 예를 들어, 특정 젤과 무스를 섞어 새로운 스타일을 만드는 ‘칵테일링’ 같은 흐름은 해당 제품들의 동반 판매를 일으킬 수 있다. 손님 입장에서는 “이 조합이 요즘 잘 먹히네?” 하는 인식을 만들어주는 콘텐츠다.
Product Empties (공병샷/다 쓴 제품 리뷰) 하나의 아이템을 다 쓰고 난 뒤 솔직한 후기를 남기는 영상이다. 이건 단순한 사용기가 아니라, ‘진짜 만족했기 때문에 끝까지 썼다’는 강력한 신호다. 여기에 자주 등장하는 브랜드는 재구매율이 높고, 충성도 높은 스테디셀러일 가능성이 크다.
Duet / Stitch (듀엣/이어찍기) 특정 상품을 사용하거나 꿀팁을 따라 하는 영상이 여러 사람에 의해 이어지며 확산된다면, 그건 트렌드가 퍼지고 있다는 증거로, 해당 스타일이나 제품은 놓치면 아까운 ‘바로 지금 뜨는 아이템’이라는 뜻이다.

 

이처럼 어떤 영상이 진짜 ‘매출로 이어지는 콘텐츠’인지 구분해서 보는 능력이 흐름 조사의 두 번째 단계다. 단순히 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어떤 포맷이 어떤 신호를 주는지 이해하면, 훨씬 더 정확하고 빠르게 ‘팔리는 아이템’을 찾아낼 수 있다.

©YouTube @deborahnyreewanjala “Douyin makeup on darker skin #grwm” #grwm (Get Ready With Me) 키워드 해시태그를 붙인 메이크업 튜토리얼 쇼츠. 제목을 통해 현재 유행하는 메이크업 스타일(Douyin makeup)을 파악할 수 있고, 내용을 통해 인플루언서가 메이크업 각 단계에서 어떤 제품을 사용했는지 살펴볼 수 있다.

 

©YouTube @VictoryMarrie “LET’S GO SELF CARE SHOPPING | $300 Haul, Hygiene Restock, Feminine Tips, Sephora”
Hual 키워드를 사용한 구매 후기 영상. 이 인플루언서는 $300 금액 소비를 통해 본인이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에 대한 후기를 보여준다. 영상의 내용과 댓글 반응을 보면 어떤 제품에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는지 파악할 수 있다.

 

3단계: “어떤 숫자를 믿을까?” – 진짜 유행을 알려주는 지표

조회수가 높다고 무조건 잘 팔리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지표를 통해 ‘진짜 구매 신호’를 포착 해야 한다.

★ 진짜 돈이 되는 신호 1: 댓글 (Comments) SNS 코멘트 란 처럼 디자인 부탁드립니다

댓글은 고객의 생각을 직접 들여다볼 수 있는 일종의 ‘금광’이다. 단순한 반응을 넘어서, 실제 구매 의사를 보여주는 강력한 힌트들이 가득하다. 아래와 같은 유형의 댓글은 특히 주의 깊게 봐야 한다.

  1. 직접적인 구매 의사 표현
    “This video just made me spend my money.” (이 영상 때문에 돈 썼다.)
    “Running to the beauty supply to get this now!” (이거 사러 지금 당장 뷰티 서플라이 달려간다!)

    → 이런 댓글은 고객이 영상을 보고 바로 지갑을 열었다는 신호로, 가장 강력한 구매 반응이다.
  2. 구체적인 제품 정보 질문
    “Is this good for low porosity hair?” (흡수 잘 안 되는 모발에도 괜찮은가?)
    “Does it leave a white cast or flake up?” (하얗게 뜨거나 각질처럼 일어나지는 않는가?)

    → 이러한 질문은 고객이 실제로 사용할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는 뜻이다. 고민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아이템을 매장에 구비하면 곧바로 매출로 이어질 수 있다.
  3. 재고 관련 불만 또는 요청
    I can’t find this anywhere! It’s always sold out.” (이거 어디서도 못 찾겠다. 맨날 품절이다.)
    → 이건 단순한 하소연이 아니라,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생생한 증거다. 바로 지금 이 아이템이 필요한 고객이 많다는 뜻이다.
★ 진짜 돈이 되는 신호 2: 저장(Saves) & 공유(Shares)

‘좋아요(Like)’는 단순한 감상평에 가깝지만, ‘저장(Save)’은 실제 구매 계획과 매우 밀접한 행동이다. ‘좋아요’는 “이거 괜찮네” 하고 스쳐 지나가는 반응일 수 있지만, ‘저장’은 “월급날 사야지”, “나중에 꼭 사러 가야지”, “이 제품 이름 기억해둬야겠다”와 같은 구체적인 소비 계획이 담긴 행동이다. 즉, 저장은 ‘내 쇼핑리스트에 올렸다’는 뜻과 같다.

예를 들어, 한 상품 리뷰 영상에 ‘좋아요’가 10,000개, ‘저장’이 3,000개 찍혔다면, 최소 3,000명의 잠재 고객이 실제로 이 아이템을 살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공유(Share)’도 마찬가지다. 친구에게 “너 이거 꼭 봐봐” 하고 보낸다는 건, 단순한 흥미 이상의 의미다. ‘저장’이 개인의 구매 신호라면, ‘공유’는 입소문을 통한 확산의 신호다.

이처럼 댓글, 저장, 공유 수치는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지갑을 열 준비가 된 사람들’의 흔적이다. 이런 데이터를 놓치지 않고 읽는 것이야말로 진짜 트렌드 조사의 핵심이다.

 

>> ‘좋아요숫자로, 사람들이 영상에 얼마나 호응하는지 알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지표.

>> 사람들이 영상에 남긴 댓글을 볼 수 있다.

>> ‘저장숫자로, 이 영상을 나중에도 다시 찾아보기 위해 저장한 사람의 수다.

>> ‘공유’, 해당 영상을 몇 명의 사람들이 공유했는지 알 수 있다.

>> 튜토리얼 컨텐츠에는 유저가 질문을 남기기도 한다.

 

 

>> 컨텐츠 크리에이터가 튜토리얼에 사용한 방식을검색어 설정을 적용하여 답변했다. 이 답변을 누르면 해당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내용을 추가로 살펴볼 수 있다.

 

지금 시작하는 20분 – SNS는 이제 매출 도구

요즘 손님들은 가게에 오기 전부터 이미 많은 걸 결정하고 온다. SNS에서 새로운 스타일을 찾고, 마음에 드는 제품을 저장하고, 친구와 정보를 공유한다. 예전처럼“이거 뭐예요?”라고 묻는 시대가 아니라, “이거 여기 있어요?” 하고 찾아오는 시대다. 한동안 틱톡에서 뜬‘Boho Braids’는 갑자기 모든 크로셰 헤어 중에서 가장 먼저 품절되었다. 어떤 고객은 “너무 가볍고, 여름에 딱!”이라며 영상에 댓글을 달았고, 그게 다시 수천 번 공유되며 매장에서도 찾는 손님이 급증했다. 이런 흐름은 광고보다 빠르고, 훨씬 솔직하다. 이렇게 모은 작은 정보들로 진열대를 바꾼다면, 고객의 시선이 머무는 곳을 조금만 먼저 읽어낼 수 있다면, 경쟁은 훨씬 쉬워진다. 다행히 이건 돈도 들지 않고,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된다. 지금 바로  해볼 수 있다.

 

COVER STORY By BNB Magazine
BNB 매거진 2025년 8월호 ©bnbma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