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관세 폭탄 속에서도 피어나는 K뷰티

지난해 미국 내 수입 화장품 점유율에서 K-뷰티는 오랜 기간 정상을 지켜온 프랑스를 제치고 1위(17억1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최근까지 뷰티시장의 제조부터 유통, 온라인 커머스까지 장악했던 중국이 관세 갈등과 정책 불확실성으로 제동이 걸리면서, 미국시장에서의  K-뷰티는  더 강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제품력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됐고, SNS를 중심으로 한 소비자 호감도도 높다. 관세 인상이 예고되어 있지만, 주요 경쟁국들 역시 비슷하거나 더 높은 부담을 안고 있어 상대적 가격 경쟁력은 여전히 유효하다. 한때 가발이 대미 한국 수출의 시작이었다면, 이제 그 자리를 K-뷰티가 이어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곳곳의 뷰티서플라이 매장은 K-뷰티가 오프라인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최적의 접점이 될 수 있다. “K 뷰티는 온라인이 아니라 우리 동네 뷰티서플라이에서 산다”는 인식을 만들 수 있는 지금이 바로 기회다.

 

숫자로 보는 미국 시장내 K-뷰티

1. 미국 화장품 수입 시장 점유율 1위, 한국

©Bloomberg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미국 시장에 수입된 한국 화장품 규모는 17억100만 달러(약 2조5천억 원)로, 주요 경쟁국들을 큰 격차로 앞지르며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프랑스12억6,300만 달러(약 1조 8천억원), 3위는 캐나다 10억2,200만 달러(약 1조 5천억원)였으며, 이는 K-뷰티가 구조적 강자로 부상했음을 의미한다.

 

2. 글로벌 수출 회복세, 팬데믹 이후 반등 성공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K-뷰티의 글로벌 수출 흐름은 다음과 같다.

  • 2021년: 92억 달러 (대중국 수출액 최고점)
  • 2022년: 80억 달러(전년 대비 -13.0% 감소)
  • 2023년: 85억 달러(전년 대비 +6.3% 증가)
  • 2024년(1~11월): 93억 달러(2021년 전체 수출액 돌파)

K뷰티 수출국 중 중국의 비중은  2021년 52.8%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팬데믹과 글로벌경기 침체의 여파로 잠시 주춤했으나, 빠르게 회복하며 역대 최고치를 갱신 중이다. 이는 지속 가능한 수출 구조가 마련되었음을 보여준다.

 

3. 미국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압도적 성장

삼성증권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미국 아마존에서 한국산 기초 화장품의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2% 급증했다.

  • 같은 기간 아마존 전체 기초 화장품 시장 성장률은 29%
  • K-뷰티는 전체보다4배 이상 빠른 성장
  • 미국 e커머스 전반에서 한국산 화장품 판매 증가율: 79%
  • 전체 평균 증가율: 14% (K-뷰티는 그보다 5배 이상 높음)
  • 이러한 수치는 소비자 신뢰와 재구매를 기반으로 한 확장세를 의미한다.

 

4. 글로벌 M&A 시장에서도 ‘핫’한 존재

K-뷰티는 글로벌 뷰티 기업과 사모펀드들이 주목하는 유망 M&A 타깃으로도 부상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세계 최대 화장품 기업 로레알(L’Oréal)이 한국 스킨케어 브랜드 ‘닥터지(Dr.G)’를 인수했다. MMP 관계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사모펀드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대미 수출의 성장세를 고려할 때 올해도 M&A 붐은 계속될 것”이라 전망했다.

 

미국 시장이 반한 K-뷰티의 3가지 경쟁력
가격, 기술, 그리고 디지털 감각까지… K-뷰티가 기준이 된 이유

1. 관세 인상 예정에도 여전한가격 경쟁력

K-뷰티의 평균 가격은 전통적인 프랑스·이탈리아산 화장품에 비해 합리적인 편이다. 물론 관세 인상은 불가피하게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만, 경쟁국인 프랑스·캐나다 등도 한국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 받고 있어, 상대적인 가격 경쟁력은 여전히 강하다. 또한 K-뷰티 기업들은 수출에만 의존하지 않고, 미국 내 현지 생산 거점 확보, 유통망 구축을 통해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관세 리스크를 줄이고, 시장 내 지속 가능한 입지를 다지는 방식이다.

 

2. 유연한 제작 인프라와 까다로운 소비자가 키워낸 세계적인 수준의 인디 브랜드

미국내 인기 있는 K뷰티 브랜드 중 다수는 대기업이 아닌 인디 브랜드*이다. 인디 브랜드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된 데에는, 까다로운 한국 소비자들의 영향이 컸다. 한국 소비자들의 높은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장 전반의 품질 기준이 올라갔으며 자연스럽게 수많은 브랜드 중 다각도로 소비자를 만족시킨 제품으로 걸러졌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고도화된 제조 인프라를 가진 ODM*시스템이 있다. 소량 생산이 가능하며, 빠른 샘플링 및 피드백 루프를 갖추고 트렌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 할 수 있다.

화장품 업계 최초의 ODM* 기업인 한국콜마의 고객사는 2022년 약 2,500곳에서 2024년에는 약 3,800곳으로 50% 이상 급증했다. 아마존에서 K-선크림 신드롬을 만든 조선미녀, 고기능성 기초로 인기를 얻은 달바 또한 한국콜마의 고객사이다.

*인디 브랜드(Indie Brand)는 “Independent Brand”의 줄임말로, 대기업이나 대형 유통망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브랜드를 의미한다. 

*ODM은 Original Design Manufacturing(제조자 개발 생산)의 약자로, 브랜드가 아닌 제조업체가 제품을 설계·개발·생산까지 모두 담당하는 방식을 말한다.

 

3. 틱톡과 함께 날아오른디지털 마케팅 감각

K-뷰티는 ‘전달하는 능력’, 즉 콘텐츠와 마케팅 감각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틱톡(TikTok)은 K-뷰티의 폭발적인 확산 채널이다.

(출처: www.cosmeticsdesign.com)

 

낯설지 않게, 자연스럽게 — 현재 K-뷰티 존재감

K-뷰티가 아직 미국 전역에 완전히 뿌리내렸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중소도시에서는 여전히 ‘한 번쯤 써보고 싶은’ 정도의 호기심 대상으로 머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호기심은 결코 가볍지 않다. 사람들은 궁금한 것에 지갑을 연다.

현재 미국 사회 전반에서 한국 문화는 음악, 드라마, 음식, 패션, 뷰티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 ‘K-컬처’라는 이름 아래, 한국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나라가 되었다. 오히려 ‘써보고 싶은 브랜드’, ‘궁금한 문화’, ‘매력적인 나라’로 인식되기 시작했고, 이 지점이 K-뷰티에게 중요한 기회가 된다.

이 기회는 미국 전역에 퍼져 있는 뷰티서플라이 소매점에도 해당된다. 이미 갖춰진 유통망과 확보된 고객층 위에 ‘K-뷰티’라는 새로운 시선을 자연스럽게 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전환이 아닌 확장의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핵심이다. ‘뷰티서플라이 = 한국인’이라는 인식은 오히려 강점이 된다. 이곳에 가면 한국 제품을 누구보다 잘 알고, 믿고 살 수 있다는 소비자 인식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K-뷰티는 2010년대 전후로 몇 차례 미국 시장에서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다만 그 당시에는 유통 구조가 체계화 되지 않아 배송이 느렸고, 가격은 높았으며, 구매 자체가 번거로웠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아마존을 비롯한 온라인 유통망을 통해 제품 접근성이 높아졌고, 성분은 순하면서도 효과는 확실하며, 가격 또한 경쟁력 있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선크림과 기초라인은 SNS와 입소문을 통해 확실한 반응을 얻고 있다. “한국 선크림 없으면 여름 못 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일부 K-뷰티는 이미 일상적인 제품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존재감이 결코 가볍지 않다.

 

현재 인기 있는K-뷰티 

1. 바이오 콜라겐 리얼 딥 마스크 (4P $19.99)
Biodance Bio-Collagen Real Deep Mask-Biodance

‘콜라겐 폭탄’이라 불리는 이 마스크는 깊은 보습과 즉각적인 탄력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민감성 피부에도 자극 없이 사용할 수 있어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비행기에서 쓸 수 있는 유일한 마스크예요. 제 피부가 정말 예민한 편인데 이건 전혀 자극 없고, 착붙이라 비행 내내 잘 붙어 있어요. 내릴 때쯤 되면 피부가 촉촉하고 진짜 좋아져요. 저는 올리브영 글로벌에서 구매하는데, 세일도 자주 해서 좋더라고요. (reddit.com에서 발췌)

2. TIRTIR 마스크 핏 레드 쿠션 파운데이션 ($21.00/ea)
TIRTIR Mask Fit Red Cushion Foundation

뛰어난 커버력, 촉촉한 마무리와 지속력이 특징인 쿠션 파운데이션이다. 다양한 피부 톤에 맞는 색상으로  SNS에서 화제를 모았다.

알고 계신지 모르겠지만, 티르티르에서 ‘트라이얼 키트’를 판매하고 있어요. 사실상 테스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에요. 제가 쿠션 몇 개를 거의 다 써가고 있는데, 이 키트가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정품을 사기 전에 내 피부 톤에 맞는 색상인지, 제형이 마음에 드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정말 마음에 들어요. (reddit.com 에서 발췌)

3. 아임프롬, 라이스 토너 ($23.50/Bottle)
I’m From, Rice Toner

여주산 고미쌀 추출물이 77.78% 함유된 이 토너는 수분과 영양을 동시에 공급하며 이중층 포뮬라로 깊은 보습을 전달하며 복합성 및 민감성 피부에도 적합하다.

처음엔 유튜버 리뷰 보고 살짝 망설였었어요. 그분 피부가 엄청 하예서, ‘이거 나한텐 아무 효과 없으면 어쩌지?’ 싶었거든요. 근데 그 걱정, 괜한 거였더라고요! 이 토너 쓰고 나서 피부가 확실히 환해졌고, 자연스러운 윤기까지 돌아요. 안 바른 날엔 얼굴에서 뭔가 빠진 느낌이 들 정도랄까? 첫 병은 이미 다 비웠고, 지금 두 번째 주문하려고요! 피부 어두운 톤인 분들, 이거 진짜 한번 써보세요—강추예요! (yesstyle.com 리뷰 발췌)

4. 살몬 DNA PDRN 핑크 펩타이드 세럼 ($11.99/Bottle)
medicube Salmon DNA PDRN Pink Peptide Serum-medicube

연어 DNA에서 추출한 성분이 함유되어 피부 재생과 탄력 개선에 도움을 준다. 가볍고 빠르게 흡수되며, 진정 효과와 함께 건강한 피부 장벽을 만들어주는 세럼으로 알려져있다.

진심 지금까지 써본 제품 중 최고예요. 얼굴은 물론 목이랑 가슴까지 듬뿍 바르다 보니 양이 좀 더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들지만, 수분감 좋고, 주름도 진짜 하루 만에 옅어졌어요. 앞으로 평생 쓸 예정입니다. 처음엔 좀 끈적한 느낌인데, 메이크업 전에 써도 밀림 전혀 없어요. 피부 진짜 예민한 편인데 이건 트러블 하나도 없이 완전 잘 맞았어요. 강력 추천합니다. 이 제품은 지금보다 더 인정받아야 해요. (amazon 리뷰 발췌)

5. 코스메틱 시카 리들샷 100 ($16.00/Bottle)
VT COSMETICS CICA Reedle Shot 100-VT

스킨케어샵에 가지 않아도 마이크로니들링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제품으로, 미세침이 피부에 자극을 주어 유효 성분 흡수를 도와준다. TikTok에서 ‘글래스 스킨’ 아이템으로 화제가 되었다.

어젯밤 가족과 저녁 식사하러 간 식당에서 한국인 남자 서버를 만났어요. K-팝에 푹 빠진 우리 딸에게 장난으로 “저 사람 어때?” 하고 웃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마흔셋이라는 거예요. 저와 남편은 진심으로 놀라서 소리 지르고, 바로 비결 물어봤죠. “선크림, 리들샷, 시트마스크” 300이나 700은 자극이 세서 굳이 안 써도 된다고 했어요. 이분 말은 무조건 들으려구요. 피부 보면 다 이해되요. 참고로 리들샷 다음에 시트마스크예요. (reddit.com 리뷰 일부 발췌)

뷰티서플라이에서 해볼 수 있는 K뷰티를 위한 3가지 시작 포인트

‘한 칸’의 구역, ‘한 장’의 설명, ‘한 번’의 체험

1. ‘한 칸’의 구역 — 관심을 사로잡는 공간 만들기

작지만 눈에 띄는 구역을 만들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가게 규모가 작아도 한 켠에 K-뷰티 전용 진열대 또는 선반 하나만 있어도 충분하다.

  • 주제를 정하면 더 효과적이다
    • “oo드라마에 나온 아이템”
    • “SNS에서 핫한 한국 화장품 모음”
    • “처음 써보는 K-뷰티 기초 세트”
  • 한국 라면, 문구, 귀여운 소품이나 K 팝 굿즈를 근처에 배치하면 시너지 효과가 있다.
  • 진열은유행에 맞춰 유연하게 교체하면서, 늘 새롭고 ‘궁금하게 만드는’ 느낌을 유지하는 것이 포인트다.
2. ‘한 장’의 설명 — 복잡한 K-뷰티, 쉽게 이해시키기

한국 화장품은 종류가 많고 사용 순서도 익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설명이 꼭 필요하다.

  • 제품 옆에 카드 하나만 붙여도 고객의 인식이 달라진다.
    • “한국 스킨케어는 ‘순서’가 중요해요!”
    • “이렇게 사용하세요: 1. 토너 → 2. 에센스 → 3. 앰플 → 4. 크림”
    • “이 제품은수분+진정을 위한 단계예요.”
  • 설명은짧고 눈에 띄게, 너무 전문적인 말보다 고객 눈높이에 맞춰야 효과적이다.
  • 가능하다면, QR코드를 넣어짧은 영상 설명이나 SNS 후기로 연결되게 한다.
3. ‘한 번’의 체험 — 직접 써보게 해서 고객 마음 사로잡기

직접 제형을 만져보고 향 맡아보고 테스트 해보는 것 만큼 확실한 방법은 없다.

  • “선크림 발라보세요! 끈적임 없는 한국 기술력”
    • “물처럼 흡수되는 토너, 지금 체험 가능!”
  • 샘플을직원이 손등에 발라주는 형태로도 충분하다.
  • 더 나아가면, 구매 고객에게 샘플 증정→ 후기 요청 → SNS로 연결하는 마케팅도 가능하다.
  • 특히 K-뷰티는텍스처, 흡수력 등 ‘기술력 중심’으로 판매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작은 체험이 큰 신뢰로 이어진다.

COVER STORY By BNB Magazine
BNB 매거진 2025년 6월호 ©bnbma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