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속부터 시작되는 뷰티: 뷰티 서플먼트의 시장성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저속 노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뷰티의 개념도 “꾸밈”에서 “관리”로 확장되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건강과 아름다움은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이 자연스럽게 확산되며, 뷰티 산업은 또 한 번의 전환점을 맞이한다. 한국에서는 이미 ‘이너뷰티(Inner Beauty)’라는 이름 아래 콜라겐, 비오틴, 유산균 등 섭취형 제품이 하나의 독립적인 뷰티 카테고리로 자리 잡았다. 영국 역시 ‘인사이드 아웃 뷰티(Inside-out Beauty)’라는 개념이 주목받으며, 관련 제품군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건강보조제 시장 세계 1위인 미국도 마찬가지다. 최근 다이어트 의약품 열풍에 더해 디톡스, 클린 뷰티 트렌드가 부상하며, 뷰티와 웰니스의 경계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뷰티 매장 진열대에는 ‘마시는 콜라겐’, ‘먹는 스킨케어’와 같은 제품들이 자연스럽게 등장하고 있으며, 소비자들 역시 이러한 뷰티 서플먼트를 일상 속 뷰티 루틴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제 뷰티는 표면에 머무르지 않는다. 몸 안에서부터 시작되어, 겉으로 드러나는 ‘다음 단계의 아름다움’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대세, ‘뷰티 서플먼트’
전 세계 이너뷰티 시장은 연평균 약 7~10%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태평양, 북미, 중국, 멕시코 주요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대표 제품 ‘슈퍼레티놀C’는 일본 시장에 진출한 지 1년 만에 매출이 200% 이상 증가했고, 올리브영은 콜라겐, 프로바이오틱스 등 기능성 제품을 중심으로 최근 2년간 연평균 약 30%의 카테고리 성장률을 기록하며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중시하는 2030세대의 수요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 Centric Market Intelligence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2023년 기준 미용 건강기능식품 제품 수가 2021년 대비 57배나 증가했으며, 매진율도 크게 상승하면서 소비자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Grand View Research는 영국 뷰티 보조제 시장이 2033년까지 연평균 9.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도 예외 아니다 – 뷰티 매장 속 뷰티 서플먼트
최근 미국 뷰티 리테일 시장에서도 섭취를 통해 건강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대표적인 뷰티 유통 채널인 Sephora, Ulta, Sally Beauty 등은 이미 뷰티 서플먼트를 주요 제품군으로 편입 하여, 고객의 뷰티 루틴을 구성하는 하나의 카테고리로서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