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렴이의 반란, 듀프(DUPE)가 판을 흔든다!

 

©www.businessoffashion.com

저렴이의 반란, 듀프(DUPE)가 판을 흔든다!

최근 ‘듀프(Dupe)’ 열풍이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듀프’란 고가의 제품과 비슷한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을 제공하는 대체 상품을 뜻한다. ‘Duplicate(복사하다)’에서 유래된 이 용어는 ‘Dupe’로 줄여 부르며, 위조품과는 다르게 인식된다. 듀프 소비는 이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Z세대의 주요 소비 형태로 자리 잡았다. 대안적 소비를 넘어 새로운 소비문화 현상으로 평가되고 있는 듀프 소비의 특징을 살펴보고 변화하는 시장 흐름을 알아보자.

 

소셜미디어가 주도한  ‘듀프’ 열풍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듀프 제품을 소개하는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TikTok의 #dupe 해시태그 동영상은 이미 60억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CNN에 따르면, ‘듀프’는 현재 가장 많이 검색되는 키워드 중 하나로, 이전 세대와는 다른 소비 가치관을 반영한다.

 

과거 비슷한 개념과의 비교

고가의 제품을 대체하는 형태는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으나 그 목적과 특징, 소비자 인식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얼터너티브 제품 듀프 제품 레플리카 제품
목적과 특징 고가 명품의 스타일이나 기능을 일부 차용하더라도, 독창적인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드시 최고가 아니어도 괜찮다’는 소비자들의 가치관을 반영하며, 개인적인 경제성과 취향을 존중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특정 인기 제품이나 고가 명품을 의도적으로 모방한 제품으로, 디자인이나 기능이 비슷하면서 가격이 저렴하다. 주로 패션이나 뷰티 제품에서 많이 사용된다.

 

특정 브랜드의 디자인이나 로고를 거의 그대로 복제한 제품으로, 보통 위조품으로 간주된다. 저렴한 가격으로 유명 브랜드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요가 있지만 브랜드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아 법적인 문제를 동반한다.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은 특정 브랜드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으며, 고가 제품의 품질에 준하는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얻고자 할 때 주로 선택한다.

 

명품의 스타일을 저렴하게 즐기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매력이며, 최신 트렌드를 쉽게 경험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사이에서 인기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브랜드의 진정성과 가치를 훼손하는 제품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레플리카 제품은 특정 소비층에 한정된 수요를 가진다.

 

 

경제 현실의 반영인가, 가치 지향적 소비의 선택인가?

뉴욕 패션 인더스트리 작가 마리사 멜처(Marisa Meltzer)는 “소비 패턴은 무엇을 얼마나 원하는지, 왜 필요한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며 듀프 트렌드의 출발점은 결국 소비자의 선택이었다고 강조한다. Morning Consult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3분의 1은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 대신 의도적으로 듀프 제품을 선택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67%가 듀프 제품을 구매할 때 주요 결정 요인으로 비용 절감을 꼽았다.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 시스템에 속하고 즐길 수 있으며, 특히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낮은 소비자층에게 듀프 제품은 매력적으로 다가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 흥미로운 것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소비자들 역시 듀프 제품을 선택하는 경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비용 효율을 중요시하고 소비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소비 방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정보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듀프 소비가 전 세대에 걸쳐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듀프 소비를 문화로 인지한 기업의 대표적인 사례

‘듀프’ 소비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기업들 역시 이에 맞춰 다양한 아이디어로 맞서고 있다. 기존의 고가 브랜드는 더 높은 품질과 차별화된 가치를 강조하는 반면, 중저가 브랜드들은 ‘듀프’ 제품군을 적극적으로 확장하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lululemon

프리미엄 운동복 브랜드 룰루레몬(Lululemon)은 듀프 제품이 대거 등장하면서 매출에 타격을 입자 최근 대담한 교환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이 행사에 룰루레몬 레깅스의 듀프 제품을 가져오면 98달러에 달하는 룰루레몬 정품 레깅스로 교환할 수 있었다. 소비자들이 저렴한 대체품을 선호하는 추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마케팅 전략으로, 자사 제품의 우수성을 자연스럽게 부각시키는 동시에 듀프 문화를 마케팅 요소로 수용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marketingdive.com

 헤어 케어 브랜드 올라플렉스(Olaplex) 또한 듀프 문화를 독창적으로 활용한 예이다. ‘OLADUPÉ’라는 이름으로 자사 제품을 출시하여 고가 프리미엄 제품과 유사품 사이에서 갈등하는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의 고유 가치를 전달하면서 듀프 문화가 가져온 소비 흐름을 전략적으로 이용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온라인에서 바이럴된 듀프 제품 예시

유명 브랜드 제품이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에게 ‘듀프’ 제품은 합리적인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듀프”를 강조한 마케팅은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맥(MAC) ‘프로 롱웨어 컨실러’ (0.30 FL OZ/$31/maccosmetics.com)

듀프(DUPE): L.A. 걸(L.A. Girl) ‘프로 컨실러’ (0.28 FL OZ/$$6.00/lagirlusa.com)

특징: 다양한 색상과 높은 커버력을 제공해 다크서클, 잡티를 자연스럽게 커버한다. MAC의 컨실러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부담 없는 가격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샬롯 틸버리(Charlotte Tilbury)의 ‘필로우 톡 립스틱&립 라이너 듀오’ ($54/charlottetilbury.com)

듀프(DUPE): 앱솔루트 뉴욕 ‘퍼펙트 페어 립 듀오’ ($7.19/absolutenewyork.com)

특징: 샬롯 틸버리 제품과 비슷한 색감과 부드러운 텍스처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가격은 훨씬 저렴하다.

 

BUSINESS By HEEJIN SONG
BNB 매거진 2024년 12월호 ©bnbmag.com